• 교정장치의 종류

• 교정치료의 분류
• 교정치료중 발생 가능한 문제점
• 턱관절 장애
 
 
 
 

 

Home > 교정치료정보 >교정장치의 종류

 
 
◉ 고정식 교정장치 ◉ 가철식 교정장치 ◉ 구외장치 ◉ 투명교정장치
◉ 유지장치 ◉ 교정용 스크류    
 
 

 

◈ 고정식 교정장치

금속장치 [ Metal Braces ]
세라믹장치 [ Cemamic Braces ]
설측장치 - 보이지 않는 장치 [ Lingual Braces ]

 

‘‘브라켓’이라고 부르는 고정식 교정장치란 치아에 붙어서 치아를 움직이는 역할을 하는 장치를 말합니다.
고정식 교정장치는 가운데 사각형 홈을 가지고 있으며 이 부분에 교정용 철사가 들어가게 됩니다.
고정식 교정장치는 재료에 따라 메탈, 세라믹, 레진, 지르코니아로 나눌 수 있으며 부착하는 위치에 따라 치아 앞면에 부착하는 순측 장치, 치아 뒷면에 부착하는 설측 장치로 나눌 수 있습니다.
또한 교정용 와이어와 연결되는 방식에 따라 일반형 장치와 자가결찰형 장치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고정식 교정장치는 각각의 재료와 특징에 따라 장단점이 있으며 장치의 종류에 따라 치료의 질이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고정식 교정장치는 치아를 움직이는 손잡이에 불과할 뿐 중요한 것은 누가 어떻게 치아를 움직이는가 하는 것입니다.

 

 

◈ 가철식 교정장치

가철식 교정장치(removable appliance)란 환자가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는 장치입니다.
가철식 교정장치도 고정식 교정장치와 마찬가지로 치아의 이동을 위해 사용하는 장치입니다.
그러나 고정식 교정장치와 그 작용원리가 다릅니다. 치아를 단순히 밀어서 이동시키므로 정교한 교정치료가 어려워 자주 사용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치아를 밀어서 이동시키는 경우에만 국한되어 사용합니다.
고정식 교정장치와 서로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되며, 환자가 착용과 제거를 마음대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치료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환자의 협조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가철식 교정장치는 매우 많은 종류가 있으며 교정치료 후 착용하는 유지장치도 가철식 장치의 일종입니다. 치아이동을 위한 장치 외에도 턱 뼈의 정형적 효과를 얻기 위한 장치들도 있습니다.

 

       
expention
bionator
hass
teusher
       
FR-III
hawlay retainer
pendulum
 

 

 

 

 

 

 

 

 

 

 

 

 

 

 

 

 

 

◈ 구외 장치


구외 장치 (extraoral appliance)는 입안에 끼우는 장치가 아니라 입 밖으로 보이는 장치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헤드기어(head gear)와 페이스마스크(face mask)가 있습니다.
구외장치를 착용하는 이유는 고정식 교정장치 및 가철식 교정장치 같은 구내장치만으로는 불가능한 치아이동을 위해서입니다. 또한 성장기 아동이나 청소년에서 안면 골격이나 턱뼈의 정형적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위턱이 정상보다 많이 자라는 경우 그 성장을 억제 하기 위해 위턱이 앞으로 자라는 것을 막는 힘을 주거나, 성장이 부족한 부분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도 사용합니다.

 

구외장치도 환자가 마음대로 착용 및 제거가 가능하기 때문에 좋은 치료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환자의 협조도가 중요합니다.

 

         
headgear
chincap
face mask
 

 

 

 

 

 

 

 

 

 

 

 

 

 

◈ 투명 교정장치


투명교정은 환자 스스로 장착, 제거가 가능한 얇고 투명한 플라스틱 장치를 착용함으로써 교정치료를 하는 것입니다.
교정장치를 치아에 부착하지 않아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이 적고, 장치가 거의 눈에 띄지 않아 심미적이라는 점이 장점입니다.
또한 장치를 제거하고 양치를 할 수 있어 구강위생 관리가 훨씬 용이합니다.
그러나 투명교정 장치만으로는 치아이동에 한계가 있어 모든 유형의 부정교합에 사용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리고 일반 교정장치로 치료하는 경우에 비해 치료비용 부담이 크다는 것도 단점입니다.
투명교정장치 만으로 치료가 어려운 부정교합에서는, 투명교정장치와 일반교정장치를 혼용함으로써 고정식 교정장치를 부착하는 기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습니다.

 

 

 

◈ 유지장치


유지장치란, 교정치료 후 잇몸 뼈와 잇몸이 변화된 치아 배열에 적응할 때까지 치아를 정확한 위치에 유지시켜주는 장치입니다. 교정치료로 이동된 치아들은 원래의 자리로 되돌아 가려는 성질이 있으며, 유지장치 착용을 통해서 치료 후의 고른 치열을 오래도록 간직 할 수 있게 됩니다.
유지장치에는 고정식 장치와 가철식 장치가 있으며, 가철식 유지장치는 교정치료가 끝나고 1년은 식사시간과 칫솔질 할 때를 제외하고 하루 종일 장착하는 것이 좋으며, 그 이후에는 치아가 제자리로 돌아가려는 성질에 따라 착용시간을 점차 줄여나갈 수 있습니다.

 

         
여러디자인의 가철식 유지장치
고정식 유지장치
 

 

 

 

 

 

 

 

 

 

 

 

 

◈ 교정용 스크류


교정 치료 중 치아는 고정식 장치를 통해 교정용 와이어에 연결되고 와이어를 따라 이동하게 됩니다.
이때 치아의 이동은 치아를 움직이는 힘과 고정원(anchorage)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소구치 발치 후 앞니를 뒤로 이동시킬 경우 뒤쪽의 어금니가 고정원이 됩니다.
교정치료에는 다양한 고정원이 사용되기도 하는데, 치아이동 시에 적절한 고정원이 없거나, 절대적인 고정원이 필요한 경우에 교정용 스크류를 사용하게 됩니다.


 

형태는 작은 나사처럼 되어있고, 잇몸 뼈에 심어서 사용합니다.
시술은 국소마취 후 시행되며 부작용이 거의 없고 생활하는데 크게 불편함이 없습니다. 기능적으로도 높은 효율을 보이기 때문에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교정용 스크류를 통해 치아를 이동시킬 때 간혹 스크류가 느슨해지거나 빠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혹은 아무런 힘을 가하지 않은 경우에도 원인불명으로 스크류가 느슨해지거나 빠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만일 교정용 스크류를 이용한 교정치료 중에 스크류가 빠지게 되면 치과에 연락 후 내원하시기 바랍니다.

 
 
 
 
가나교정치과의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로407 (연희8빌딩) 4층 Tel : 02-379-0102
Copyright ©가나교정치과의원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