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정장치의 종류

• 교정치료의 분류
• 교정치료중 발생 가능한 문제점
• 턱관절 장애
 
 
 
 

 

Home > 교정치료정보 >턱관절 장애

 
 
◉ 턱관절이란? ◉ 턱관절 장애
   
 
 

 

◈ 턱관절이란?


턱관절(악관절)은 전문용어로는 측두하악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라고 하며, 귀 앞쪽에 위치한 작은 관절입니다.
아래턱 뼈(하악골)와 두개골의 측두골이 연결되는 관절로서, 입을 벌리고 다무는 아래턱의 운동과 관련된 관절입니다.
저작, 호흡, 발음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체의 다른 관절보다는 훨씬 복잡하고 다양한 운동, 즉 전, 후, 좌, 우, 회전, 전이 운동이 가능한 관절입니다.

 

더불어 주변 근육의 도움을 받아 아주 예민한 운동까지도 가능합니다. 이 관절 사이에는 척추에 있는 것과 비슷한 디스크가 위치하고 있고, 디스크의 뒤쪽으로는 혈관과 신경이 분포한 민감한 조직이 있습니다.
이 구조물들은 관절낭이라고 불리는 인대 조직으로 둘러싸여 보호되고 있습니다. 또한 주변의 인대와 근육들이 턱관절을 지지하고 유지해줍니다.

 

 

 

 

 

◈ 턱관절 장애


턱관절의 모든 구성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며 정상적으로 기능을 할 때에는 편안하고 부드럽게 움직이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문제를 일으키게 됩니다.
턱관절 장애란, 턱관절의 구성요소들의 조화가 깨짐으로써, 턱관절의 정상적인 기능이 잘 되지 않고, 이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일컫는 말입니다.
턱관절 장애는 큰 증상 없이 본인도 모르게 올 수도 있고, 통증, 교합 관계의 변화, 입이 잘 벌어지지 않는 등의 증상과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신적인 긴장이 지속되는 생활을 하거나 스트레스가 심할 때, 육체적인 피로도가 심할 때 증상이 주로 나타납니다.
이를 악무는 습관이나 이를 가는 습관이 있는 경우 턱관절 증상의 발생 가능성은 크게 증가합니다.
턱뼈의 위치이상도 악관절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턱뼈에 대한 외부충격이나(누구한테 맞거나 부딪히거나), 장시간의 치과치료, 관절염 등도 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관절내부에 있는 디스크의 위치 이상으로 관절의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디스크가 앞쪽으로 빠지면 뒤쪽의 신경과 혈관이 있는 민감한 조직이 디스크의 충격 완화기능을 하게 되어 통증과 불편감이 나타날 수 있으며 앞으로 디스크가 많이 빠져 나와 입이 안 벌어지는 경우도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근막동통 증후군이라고 하는 질환이 있을 때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질환은 근육의 긴장과 통증이 턱뼈의 운동장애와 함께 나타납니다. 악관절 질환은 여성이 8:2 정도로 많으며, 특히 2-30대에서 많고,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이 10대도 상당히 많다고 합니다.
관절잡음 정도의 가벼운 증상을 가진 사람은 전체인구 중의 30% 정도이지만 실제로 치료가 필요한 사람은 전체인구의 5% 내외이므로 입을 벌리고 다물 때 턱에서 소리가 난다고 너무 걱정 하지 마시고 주의해야 할 사항을 잘 알고 조심하시면 증상이 더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 턱관절 치료

 

◈ 자가치료법 ◈

 

대부분의 경우에서 악관절을 편안한 위치에서 쉬게 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원인에서 언급한 여러 가지 행동 즉 나쁜 자세, 이 갈이, 이 악물기, 입술, 연필, 손톱 물어뜯기, 편측 저작, 껌 씹기, 턱 괴는 습관, 뺨을 깨물고 있는 습관, 턱을 앞으로 내밀거나 계속 움직이는 습관 등이 턱관절 장애를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이런 행동을 조절하는 것이 치료법이 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는 저작근을 포함한 두경부 근육을 지속적으로 수축시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관리도 필요합니다. 따뜻한 물수건으로 온 찜질을 하는 것도 근육을 풀어주는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관절이 손상을 입은 경우에는 냉 찜질을 하는 것이 붓는 것을 줄일 수 있으므로 통증이 있거나 더 심한 증상이 있는 경우라면 구강내과 의사와 상담 후 처방대로 따르는 것이 더 좋습니다.
 

 

 

◈ 물리치료법 ◈

 

치료가 필요한 경우 초기 치료로 운동요법, 초음파나 전기자극요법, 물리치료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물리치료를 통해 근육을 이완시키고 통증을 조절하여 하악의 운동범위를 정상으로 개선시킵니다.

 

 

◈ 치과적 치료/ 교합안정장치 (스플린트) ◈

 


교합안정장치는 악관절의 정상적인 위치를 잡아주는 장치로 관절 및 주위의 근육 등을 이완시켜주고 이갈이 방지의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증상이 심한 많은 경우에 있어서 이 장치를 사용하게 됩니다. 치아가 잘 맞물리지 않는다던가 턱뼈의 위치이상이 있다면 교정치료나 악교정수술을 부가적으로 시행하여 악관절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소를 제거해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교정치료나 악교정 수술만으로 악관절 질환이 치료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는 점을 아셔야 합니다.

 

 

◈ 약물요법 ◈

 

비마약성 진통제, 근육이완제, 정온제, 진정제, 항우울제 등을 사용하여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킵니다.

 

 

◈ 악관절 수술 ◈

 

증상이 악화되어 입을 벌릴 수 없거나 뼈의 손상이 너무 심하여 악관절이 정상적인 기능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악관절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악관절 수술은 턱교정 수술과는 다른 수술입니다.
물론 수술은 구강악안면 외과에서 시행하지만 악관절 수술을 하는 목적은 악관절 질환을 치료하고 악관절의 기능을 되살리는데 있습니다. 이런 수술을 하는 환자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악관절 질환이 심한 것 같다고 해서 무조건 수술을 해야 한다고 미리 단정지을 필요는 없습니다.

 

대부분 물리치료와 약물 요법 등으로 대부분의 증상이 호전되어 악관절의 건강을 회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나교정치과의원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로407 (연희8빌딩) 4층 Tel : 02-379-0102
Copyright ©가나교정치과의원 ALL RIGHT RESERVED